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러시아 우크라이나 협상 기대감으로 주가 상승기여 - 3월 FOMC 발표 요약

비지니스 경제

by fremont rocket 2022. 3. 18. 17:11

본문

반응형

제롬파월-FOMC의장
제롬 파월의장

(FOMC 금리인상)

미국은 2019년 이후로 금리를 내리며 코로나에 대응하기 위해 금리를 0%로 낮추는 모습을 보여주었으나  미국이 3년 3개월 만에  기준금리를 인상하였습니다.  (0~0.25%   -> 0.25%~0.50%)   0.25P인상
투표권을 행사한 9명중 제임스 블라드 총재만 0.5% 인상을 주장하였지만 최종 0.25P로 결정되었습니다. 기준금리를 낮추고 시중의 통화량이 늘어나면 경기는 활성화되며 물가는 오르게 됩니다.  반면에 기준금리를 높이면 물가는 낮아지게 되고 경기도 가라앉게 됩니다. 이러한 양면이 있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정책결정입니다. 이번 결정은 극심한 인플레이션 시국에  물가를 잡기 위한 의지로 보입니다.

 

추가 금리 인상도 예고되었는데요.  FOMC가 끝난 후 점도표 (DOT PLOT)가 공개되었고 올해 말의 금리 수준을 1.875% 로 예상하였습니다.

올해 FOMC 가 6번  남앗다다고하면  지금 금리가(0~0.25%-> 0.25%~0.50%)으로 변하였는데 6번을 전부 0.25% 를 올려야 1.875%가 되게 됩니다.  따라서 올해 계속 금리를 인상하겠다는 것입니다. 또한 내년의 금리 전망은 2.75% 입니다. 따라서 내년에도 3~4차례 금리를 올리겠다는 뜻으로 보입니다. 
이런 금리인상은 한국에 부담으로 다가올 수 밖에 없습니다. 또한  전 세계 자금의 신흥국 이탈을 부축이는 역할이 될 수도 있습니다. 이런 시국에는 미국 주식을 모아가는 것이 금리인상 후반전에 기회비용을 높일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뉴욕증시 외 기타 증시)-  나스닥 13,614 , 다우존스 34,480 

증시 같은 경우에는 호재도 악재도 선반영 된다고 하는데요. 확실히 불확실성이 해소되는 분위기입니다.
올해 들어서 가장 큰 이슈로 2019년 이후에 처음으로 금리를 인상하는 발표와 더불어 주가가 내려가는 듯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이번 FOMC 결과와 더불어 다시 반등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기술주가 가장 많이 올라간 반면에 에너지주는 하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항상 실적이 확실하다고 생각되는 종목에 투자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미국의 주요 종목들이  강하게 반등한 이유는  파월 회장이 정확한 자신의 시각을 보여주며 불확실성이 해소되었고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4차 협상으로 인해 러시아 외무장관이 진전이 있다는 것을 발표함으로써 시장에 호재로 반영되었던 거 같습니다.

 

코스피의 경우 외국인들도 순매도에서 순매수로 돌아서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나스닥은  3일 연속으로 상승함으로써 강한 반등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독일 DAX 지수와 영국 FTSE 지수와 같은 유럽증시도 반등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미국 환율은 국제정서가 불안화되고  달러 선호 현상으로 대폭 올랐지만  이번 fomc를 기점으로 많이 진정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실제로 fomc이후 원달러 환율은 하락세이며 글로벌 긴장관계가 희망의 빛을 보이며 미국 달러가 이틀째 진정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Fomc요약 

1. 미국 기준금리  0.25%  인상 결정  (0~0.25%   -> 0.25%~0.50%)로 인상됨

2. 인플레이션 예상치는 올해 4.3% 그리고 내년에 2.7%

3 금리인상 올해 6번더올려 총 7번 내년에 3번 예상하고 있음.

4  제임스 블라드 총재가 혼자 0.5% 올리자고 반대하였음 ( 하지만 빅 스텝으로 가지는 않음 )

5 코어 인플레이션 (음식 에너지 제외) 예상치 올해  4.1% 그리고 내년에  2.6%

6. 경기 침체를 예상하지는 않고 있음.

7 연준 위원들의 평균이 혹은 가장 많은 투표를 얻은 게 약 2.0% , 올해까지 상승시키자  -내년에는3%. 점도표 기준

8 다음 회의는 5월  3~4일로 예상하고 있음

9.FED Watch Tool 기준으로 0.5% 상승이 대략 58%. 

 

10. 양적긴축은 5월부터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